- 조회수114

대한상의공회의소는 지난 22일 상의회관에서 ‘2023 유통산업 전망 세미나’를 가졌다.
‘포스트 코로나에도 소비심리 악화’, ‘유통업태간 경쟁 압박’, ‘고물가’, ‘배송전쟁’, ‘혜자스러운 탄단지 도시락 인기’, ‘대형마트 의무휴업 논란’ 등이 올해 소비시장의 10대 뉴스로 꼽혔다.
대한상의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지난 22일 상의회관에서 올해 유통업계를 결산하고 내년 유통시장의 변화와 판도를 미리 조망해보는 ‘2023 유통산업 전망 세미나’를 가졌다.
이날 대한상의가 유통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2022년 소비시장 10대 이슈’에 따르면, 올해 유통업계 최대 핫이슈로는 ‘소비심리 악화(51.3%)’가 선정됐다. 이어 업태간 경쟁심화에 따른 수익성 악화(30.7%), 고물가로 인한 출혈 압박(25.7%), 오프라인 업태의 온라인 사업 진출(24.0%), 일상회복으로 온라인소비 둔화(21.3%), 배송 전쟁(20.0%), 가성비 탄단지의 편의점 도시락 인기(17.3%), 코로나 재난지원금(14.0%), 유통기업의 디지털전환 확산(13.3%),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논란(12.7%)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측은 “포스트 코로나 이후에도 소비심리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는데다 고물가까지 겹치며 유통기업의 수익성은 악화되고 경쟁은 심화됐다”고 말했다.

2022년 유통업계 10대 뉴스
이 날 세미나에서는 내년 업태별 전망에 대한 기조강연과 주제발표가 있었다. 기조강연 첫 발표자로 나선 김명구 모니터 딜로이트 파트너는 “3高(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시대를 거치며 서비스 효율과 품질을 관리하지 못한 기업들이 낙오하고 있다”며 “소비자 행동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면 시장 내 경쟁력이 한순간에 상실될 수 있는 시대에는 매장도, 벨류체인도, 서비스모델도 완전하게 고객중심으로 재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인수 일본 오사카대 교수는 한미일 유통기업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이하 DX) 사례를 소개했다. 백교수는 “DX는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단계에서 수익모델로서 DX를 구축하는 단계로 진화하고 있다”며 “DX 정착을 위해서는 에코시스템(생태계)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며, 전사적으로 DX를 내재화하기 위한 인재와 기술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사고의 전환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주제발표에서 이경희 이마트 유통산업연구소 상무는 “대형마트는 내식수요 증가로 식료품 매출은 견조하겠으나 가전, 가구 등 내구재의 소비 둔화가 실적 반등을 제약할 것”으로 내다봤고, 백화점은 “최근 자산가격 하락, 금리인상과 더불어 해외 여행객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성장이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서정연 신영증권 연구위원은 “내년 상반기까지 물가상승과 소비 위축이 예상돼 음식배달서비스, 가전⸱가구, 생활용품의 거래액은 감소하겠지만, 식료품, 여행⸳문화서비스 품목은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이커머스 각사가 ‘돈 쓰던 전략’에서 ‘돈 버는 전략’으로 선회하고 ‘멤버십 생태계 구축’에 집중할 것”으로 내다봤다.
장근무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정치, 금융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내년에도 국내 유통시장에 영향을 줄 것”이라면서 “전사적인 디지털화를 통해 ‘고객 니즈 분석 및 맞춤형 상품⸱서비스 제공능력을 키우는 동시에 ‘비용 효율성 역량’ 강화를 통해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를 공략해나가는 것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우혁 기자(hyouk@kfashionnews.com)
<저작권자 ⓒ K패션뉴스(www.kfashion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