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4월 FaDI Top 20 콘텐츠!
2020.05.04 월요일
  • 조회수384

국내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이 줄어드는 양상을 보이면서, 이달 6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를 종료하고 생활방역으로 전환하겠다는 정부의 발표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정부 발표 이전인 이달 초 황금연휴에는 전국의 관광지가 북적이며, 사실상 국민들의 사회적 거리두기는 종료된 듯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죠. 그래도 아직까지는 잠재적 위험이 남아있으니, 모두가 방심하지 말고 생활 속 거리두기를 실천하면서 다가올 코로나바이러스 이후를 대비해야 하겠습니다. 

4월 top 20에서는 20FW 시즌이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한 가운데, 꾸준히 자리를 지키고 있는 20SS 시즌 콘텐츠와 재진입한 스테디 콘텐츠 등이 있어 눈길을 끕니다. 21FW 시즌의 컬러 예측 정보들이 여전히 top 20에 랭크되었고, 21SS 시즌의 [2021 summer preTrend] big idea가 공개되면서 10위권 내에 진입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스테디 콘텐츠 2020 summer Pre-Trend의 color analysis가 한 계단 하락하며 3위에 랭크되었고, 지난 달 1위를 했던 2020 winter Pre-Trend 시즌 결정색이 2위로 밀려났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패션 및 유관 산업에서 20FW 시즌에 대한 준비가 계속될 것이므로 2020 winter Pre-Trend 시즌 결정색은 스테디 콘텐츠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21SS, 21FW 시즌의 컬러 트렌드 콘텐츠들이 top 20에 이름을 올렸고, 그 외에는 퀵트렌드바이트로 코로나19 관련 컬러 인스피레이션 콘텐츠인 Pandemic Colors가 인기있었습니다.  

스타일 콘텐츠 중에서는 20FW 시즌의 스타일 예측 정보인 Anti-consumer & Super-consumer 가 1월 공개 이후 연속해서 top 20에 랭크되며 스테디 콘텐츠로의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20FW 남성복 런웨이 분석 20FW Runway Analysis Mens 중 3월에 top 20에 이름을 올렸던 로맨틱 라운지, 모던 빈티지, 스트리트 프렙 테마는 10위권 내로 순위가 상승했으며, 새롭게 스마트 포멀 테마가 12위를 차지하며 차트에 진입했습니다. 퀵트렌드바이트로는 코로나19 관련 #홈오피스룩 콘텐츠가 3월에 이어 4월까지 20위 안에 랭크되며 높은 관심을 증명했고, 역시 코로나19 관련 콘텐츠인 화상회의룩(#WFH #Waistupdressing #쥬얼리 #헤어액세서리) 콘텐츠가 14위를 차지했습니다. 

시즈앤니즈 콘텐츠 중에서는 밀레니얼 세대에 주목한다와 The State of Fashion 2020 빠르게 읽기 (McKinsey x BOF) 콘텐츠가 재진입했는데, 이 두 콘텐츠는 지난 11월 이후 꾸준히 top 20에 랭크되고 있어 스테디 콘텐츠로 자리잡는 양상을 보입니다. 또한 지난 해 6월 top 20에 이름을 올렸던 인상주의(Impressionism) 콘텐츠가 오랜만에 차트에 재진입한 것도 흥미롭습니다. 그리고 The State of Fashion 2020 빠르게 읽기 (McKinsey x BOF) 콘텐츠 외에도, 지난 1월과 2월 연속으로 top 20에 랭크되었던 2020 RETAIL TREND -해외편 콘텐츠가 다시 20위에 이름을 올렸고, 지난 달 3위였던 2020 패션 소비 트렌드 -국내편이 1위로 상승한 것으로 보아, 리테일 및 마켓 트렌드 콘텐츠에 대한 높은 관심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QTB] 2020 패션 소비 트렌드 -국내편
2019년 소매 유통 경기가 전년 대비 좋지 않았다는 설문 조사결과와 더불어 2020년 소매 시장에 대한 기대감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 전문지 리테일매거진에 의하면, 업계 종사자들이 ‘오프라인 유통업계 성장세 감소 및 정체’, ‘지속적인 위축된 소비심리’, ‘정부의 규제 압박’ 등을 원인으로 2020년 소매 시장의 성장률을 2~3%대로 예측했다. 특히 심각한 패션 시장의 위기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제시된 ‘2020 패션 시장 트렌드’를, 국내 유통사들이 자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시한 유통 및 소비 트렌드의 큰 틀에 대입하여 2020 패션 소비 트렌드의 대표적인 흐름을 짚어보았다.
 2[2020 winter Pre-Trend] Colors of the season
orange / red / blue / yellow / purple / green / basics
 3[2020 summer Pre-Trend] color analysis

Comfort :: 편안
Flexibility :: 유연성
Inventities :: 발명
 4[20FW Runway Analysis Womens] 01 편안한 미니멀리즘
재택근무, 홈오피스룩 등 사회적인 이슈에 따라 편안한 패션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심플하면서도 여유있는 핏의 편안한 미니멀룩이 트렌드로 지속되고 있다. 디자인은 미니멀하지만 소재는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중심으로 활용되고, 랩구조, 드레이프, 셔링, 비대칭, 컷아웃, 벨트와 같은 액세서리들이 더해져 미니멀룩을 완성한다.
 520FW Runway Analysis Mens_03 모던 빈티지
#모던빈티지 #빈티지테일러링 #빈티지대디룩 #레트로테일러링20세기 레트로 무드를 참조한 모던 빈티지룩이 트렌드로 떠오른다. 다양한 시대의 패션 요소들을 모던하게 재해석하여 세련되고 트렌디한 스타일로 완성한다. 6-70년대의 와이드팬츠, 터틀넥과 셔츠 레이어링, 빈티지한 얼스톤(Earthtones)과 8-90년대의 파워숄더와 오버사이즈 핏 등이 더욱 모던한 소재와 강렬한 테크니컬 네온 컬러와 믹스되어 새로운 빈티지 스타일로 탄생되었다. 이러한 모던 레트로 스타일들은 오리지널리티를 간직한 업사이클링된 빈티지 아이템들을 함께 매치해 지속가능한 패션을 추구한다.
 6[QTB]Pandemic Colors_COLOR INSPIRATION
공포와 함께 추측과 오해가 난무하는 바이러스 발생 요인과 치유에 대한 불확실성 등이 더해져 covid-19은 비밀스럽고 정복할 길이 먼, 미지의 영역이 되어버렸다. 우리의 삶을 빠르게 디지털 화시키며, 사회적 거리두기, 언택트(untact) 소비와 면역과 위생을 중시하는 행동들을 새로운 norm으로 만들고 있는 지금의 팬데믹(pandemic) 상황은 다음과 같은 컬러 인스피레이션을 제안한다.
 7[2021 winter ICReport] Color Analysis
root brown/ contaminated yellow/ responsible green/ synthetic and erotic red/ bio fabrication blue/ irregular and odd green/
 8[2021 summer preTrend] big idea
:: AFTER PANDEMIC ::
 920FW Runway Analysis Mens_07 스트리트 프렙
#스트리트프렙 #뉴프레피룩 #스트리트프레피룩 #디컨프레피룩해체주의 요소 등 다양한 시도로 새롭게 업데이트 된 스트리트 감성의 프레피룩이 젊은 층을 위한 트렌드로 된다.프레피룩의 대표적인 아이템인 단정한 재킷&코트, 가디건&풀오버 아이템들은 새로운 소재와 디컨(deconstruction) 디테일로 업데이트되고, 대표적인 클래식 패턴인 체크와 스트라이프 역시 브라이트한 컬러와 다양한 소재들을 믹스해 재탄생된다.
 1020FW Runway Analysis Mens_02 로맨틱 라운지
#로맨틱라운지웨어 #소프트라운지웨어 #럭스라운지웨어 #럭스파자마룩 #로맨틱파자마룩라운지웨어에서 영향을 받은 부드럽고 로맨틱한 포멀룩들이 대거 등장했다. 이번 시즌 남성복에서는 포멀룩이 대세를 이루면서 다양한 옵션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라운지 웨어와 여성의 부두아르 드레싱에서 영감을 받은 포멀룩이 트렌드로 떠올랐다. 광택이 있는 실크&벨벳, 시어한 레이스 뿐 아니라, 러플, 주얼 장식 등 여성복의 로맨틱하고 글래머러스한 요소들을 활용한 아이템들이 제안된다.
 1120F/W Style Forecast : Anti-consumer
과소비를 지양,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소비주의에 초점을 맞춘다.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강조하는 내추럴한 스타일과 가치를 담아 오랫동안 착용할 수 있는 스타일이 핵심이 된다.친환경적인 소재, 내추럴한 터치, 러스틱한 디테일로 자연 친화적인 패션을 표현하고, 패스트 패션이 아닌 높은 퀄리티에 중점을 둔 베이직 스타일과 개성, 맞춤, 수선, 재활용 아이디어에서 새로운 가치를 찾는 지속가능한 패션이 제안된다.
 1220FW Runway Analysis Mens_01 스마트 포멀
#스마트포멀룩 #스마트룩 #실용적인포멀룩 #스포티한포멀룩 #편안한포멀룩일상에서의 편안함과 기능성 웨어의 스마트함을 더한 실용적인 포멀룩이 키트렌드로 보여진다. 기능성 테크 소재로 전형적인 포멀룩에 비해 실용적이면서 편안한 소재를 활용한다. 구조적이지 않은 여유 있는 핏의 아이템을 기본으로 하고, 테크니컬 파카, 패딩 파카 등 기능적인 아이템들을 레이어링해 실용적인 포멀룩 완성한다. 여기에 포인트를 주는 스포티한 슈즈와 액세서리들을 매치한다.
 13[QTB] #홈오피스룩 #투마일웨어 #라운지웨어 #파자마룩
코로나 19의 팬데믹 상황에서 새롭게 급부상하고 있는 “스테이홈”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홈오피스룩(#homeofficelook), 투마일웨어(#twomilewear), 라운지웨어(#loungewear) 등 집안에 머물기 위한 다양한 컨셉의 룩들이 더욱더 중요해졌다.
 14[QTB] #WFH #Waistupdressing #쥬얼리 #헤어액세서리
코로나 팬데믹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 되면서, 단 몇개월 만에 ‘키보드 위 드레싱(above the keyboard dressing)’이 가장 중요한 패션 트렌드로 급부상했다. Vogue(UK)에서는 이러한 스타일을 ‘웨이스트 업 드레싱(Waist-up Dressing)으로 정의하고, 새로운 패션 카테고리가 등장했다고 분석했다. 이 스타일은 Zoom 또는 Skype를 통한 화상 근무에 필수적이며, 블라우스, 셔츠 등의 상의와 함께 귀걸이, 목걸이, 헤어액세서리와 같은 화면에 보이는 쥬얼리와 액세서리들이 더욱 중요해졌음을 의미한다.
 15밀레니얼 세대에 주목한다
현재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소비, 고용 시장에 큰 영향력을 미칠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을 파악하고, 사회의 변화 흐름을 읽어본다.
 16인상주의(Impressionism)
19세기 미술계의 비주류, 일종의 변종 화가 집단이었지만 100년이 흐른 뒤에도 대중의 관심을 뜨겁게 받고 있는 인상주의. 이토록 사람들을 열광하게 만드는 인상주의의 매력이 무엇인지, 인상주의 화가들의 그림에 대한 가치관과 신념은 무엇인지 Trend Backstage에서 공유하고자 한다.
 17
The State of Fashion 2020 빠르게 읽기 (McKinsey x BOF)
국내 패션인들은 지금 누구나 위기를 체감하고 있다. 글로벌 패션 리더들도 모두 염려와 걱정을 금치 못한다. 걱정스러운 한 해를 앞두었지만 그 속에서도 진화하는 채널, 변화하는 시장, 획기적인 연구는 수익 창출 기회와 급진적인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경제 성장은 둔화되고 경쟁은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는 2020년, The State of fashion을 핵심만 빠르게 읽어보자.
 18[2021 winter ICReport] Final Colors
:: 옵티멈 에센셜 OPTIMUM ESSENTIALS/ 유래하다 ORIGINATE/자연의 힘 NATURATE/ 진보적 마음 PROGRESSIVE HEART /오르가노이드 ORGANOIDS/ 연결성 CONNECTIVITY ::
 1920F/W Style Forecast : Super-consumer
온라인상에서만 존재하는 digital couture, digital persona는 새로운 방식의 소비를 창출해낸다. 이러한 디지털 공간에서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는 e-girl, e-boy을 위한 과장되고 인위적인 스타일들이 키트렌드로 제안되고, 자기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drag culture와 non binary culture가 주목을 받는다.
 20[QTB] 2020 RETAIL TREND -해외편
최근 글로벌 유통업계는 전자상거래 확장과 이에 대한 오프라인 업체들의 생존을 건 변화 움직임을 필두로 복잡한 상황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전 세계의 변화를 이끄는 미국의 유통산업은 11월 대통령 선거로 인한 다양한 변수가 도사리고 있는 가운데, 빠른 변화와 온-오프라인 경쟁 속에서 유통의 선두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글로벌 유통 미디어와 정보 분석 기업들(Retail Dive, NRF, Nielsen)이 제시한 트렌드 예측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2020 리테일 트렌드 네 가지를 소개한다.

>> 분석방법
2020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사용자 이용 내역을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로 분석하여, ‘콘텐츠 뷰(view) 수‘를 기준으로 하고 ‘게시 후 경과일 수’를 가중치로 적용하여 점수화한 뒤, 상위 20위까지를 선정하였다. 트렌드 콘텐츠의 특성 상 게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콘텐츠의 가치가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게시일로부터의 경과일을 가중치 기준으로 함으로써, 게시 후 오랜 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관심도가 높은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FaDI에서 게시하는 각 콘텐츠는 시즌과 정보분류, 타겟 등 속성(feature)값을 부여하여 관리하고 있는데, 사용자 이용내역 분석을 통해 보다 정확하고 활용도 높은 맞춤형 콘텐츠를 제작, 제공할 예정이다. 

by 패션넷
  • 맨위로
목록

FASHIONNET 사이트맵

닫기

사이트맵

e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