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회수135
B2B 모피 비즈니스 정보 교류의 장 27일 서울서 개막
이탈리아, 튀르키예 등 모피 강국에서 30여개 업체 참가

글로벌 유명 모피, 가죽 업체들과 국내 패션유통 업체 바이어 및 관련 산업 종사자 간에 유기적인 네트워킹과 파트너 십을 구축하는 비즈니스 정보 교류의 장이 3월 27일 서울에서 개막했다.
국제모피연맹(International Fur Federation, 이하 IFF)이 주최하는 ‘2023 서울 국제 모피 & 가죽 박람회(The International Fur & Leather Expo 2023, Seoul)’가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3일간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 서울 파르나스 5층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다.
IFF는 2019년과 2022년 두 번의 성공적인 박람회를 개최한 데 힘입어 올해도 대한민국 수도 서울에서 국제 모피 박람회를 열기로 했다. 서울은 패션, 문화, IT(정보기술) 및 국제 비즈니스에서 세계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며 점점 더 유명해지고 있는 도시 중 하나로, 이 같은 행사를 위한 최적의 허브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작년에 열린 박람회에는 이탈리아, 튀르키예, 그리스, 독일, 러시아, 중국, 캐나다 등에서 참가한 전시업체가 다양한 제품을 선보여 한국과 아시아 전역에서 온 바이어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방문객에는 백화점 및 독립 부티크의 바이어, 한국, 그리스, 튀르키예의 정부 대표, 언론이 포함됐다. 박람회는 성공적인 네트워킹 구축뿐만 아니라 상당한 수주 실적을 기록했다.
올해 박람회에는 이탈리아, 튀르키예, 그리스, 독일, 러시아, 미국, 중국 등지에서 작년보다 10여개 늘어난 30여개 업체에서 35개 브랜드가 참가하고 있다. 주요 참가업체에는 캐나다에서 설립된 뒤 북미 최대 시어링 유통업체로 거듭난 45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HiSo’, 중국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중국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미적 감성과 기능성을 겸비한 아이코닉한 브랜드 전개업체 ‘Huasi’, 유럽 최대 모피 의류 제조업체 및 생산업체로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본사를 두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는 ‘Manakas Frankfurt’, 1954년에 설립되어 튀르키예 모피 산업을 이끌고 있는 ‘Tasari Kurkmod – Gata Fur’ 등이 있다.

이번 박람회는 의류, 트리밍 및 액세서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는 전시업체와 함께 작년보다 더 큰 기회를 약속하고 있다. IFF는 비즈니스 전망이 밝은 서울에서 최고의 컬렉션을 선보여 참가업체와 바이어들의 만족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전시 품목은 세이블, 밍크, 친칠라, 폭스 모피와 가죽 액세서리, 시어링 재킷 등이다.
특히, 이들 제품은 모피산업의 동물 복지와 환경 기준 준수를 보장하는 글로벌 통합 인증 및 이력 추적 시스템인 ‘퍼마크(Furmark)’ 인증을 받았다. 퍼마크 인증 제품에는 모피 종류와 원산지, 동물 복지 프로그램 등 공급망 전체 이력을 추적,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라벨 코드가 부착되어 있어 소비자가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다.
여기에는 주요 동물 복지 프로그램이 적용되는 야생 혹은 사육 모피만이 경매 시스템을 통해 취급되고, 드레싱, 염색, 제조 등 각 공정 단계는 고객이 접근할 수 있는 추적 가능 구성 요소를 통해 기록, 공급망 전반에 걸쳐 투명성을 보장하고 있다.

IFF 요하네스 마나카스 회장은 27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현재 글로벌 모피 무역은 약 180억 달러로 평가되며 코로나19가 끝나면서 다시 매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세계 경제가 개방되면서 이러한 추세가 계속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한국은 아시아에서 중국 다음으로 큰 모피 시장으로, 이번 박람회를 통해 성공적인 비즈니스가 이루어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그 자리에서 전시 참가업체와 실질적인 수주 상담을 진행할 수 있도록 B2B 형태로 진행되는 이번 박람회는 공식 홈페이지(ifffairs.com)에서 사전 등록을 해야 입장할 수 있다.
한편, IFF는 1949년 설립된 전 세계 모피 무역을 대표하고 규제하는 기관으로, 지속가능한 천연 모피 사업을 촉진하고 동물 복지 및 환경 기준을 개발·시행 및 발전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펼치고 있다. 현재 전 세계 40여 개국에 걸쳐 56개의 회원 협회를 두고 있다.

박우혁 기자(hyouk@kfashionnews.com)
<저작권자 ⓒ K패션뉴스(www.kfashion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