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회수255

ESG 중심의 경영 패러다임은 이제 산업계 전반에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 잡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탄소 중립 시대에 발 맞춘 지속가능성, 윤리적 소비 등은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화두가 됐다.
이런 가운데, 패션 업계 역시 환경을 고려한 ‘컨셔스 패션(양심적 패션)’ 열풍이 대세다. 시장조사업체 리서치앤드마켓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양심적 패션 시장’ 규모가 2019년 63억5000만달러(약 7조6100억원)에서 2023년 82억5000만달러(약 1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국내 패션계 역시 친환경 가치를 중심으로 한 ESG 경영에 집중하고 있다. 재활용 폴리에스터 섬유 시장은 꾸준히 성장 중이며, 비건 소재를 활용한 패션 기업의 시장 진출도 늘고 있는 추세다. 올해 역시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친환경 원사 활용, 친환경 포장재 및 의류 택 개발, 지난 시즌 재고 리사이클링 등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는 다채로운 방법을 통해 환경과 소비자 모두를 위한 제품을 내놓으며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 자연유래 친환경 원사 활용해 자연으로 돌아가는 의류부터 의류 택까지 모두 친환경 실천하는 ‘뮬라’
국내 애슬레저 시장을 리딩하는 뮬라는 친환경 소재를 적극 활용하며 애슬레저 업계 내 컨셔스 패션 트렌드를 적극적으로 이끌고 있는 대표적인 기업 중 하나다.
뮬라는 통기성이 좋으면서도 생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원사, 소재를 지속적으로 발굴, 활용해오고 있다. 특히 애슬레저 룩 ‘뮬라웨어’는 너도밤나무 추출물을 활용한 ‘모달’, 유칼립투스나무 원료를 이용한 ‘텐셀’ 원단의 제품을 다양하게 선보여 왔다. 이에 더해 작년 FW 시즌부터는 리사이클 소재 원단도 본격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PET 소재 페트병을 재활용한 리사이클 폴리 원단을 선보이고, 이를 적용한 ‘에코 플리스 자켓 베스트 세트’를 출시한 것. 이 자켓은 1벌 당 수십개의 페트병이 재활용되며, 100% 리사이클 원단만으로 제작되는 것이 특징이다. 뮬라웨어는 올해 역시 계속해서 리사이클 소재의 자켓, 숏슬리브, 팬츠 등을 다양하게 내놓을 예정이다.
여기에 뮬라웨어에서 선보이는 운동 용품 중 ‘스웨트 라이프 요가매트 논슬립타올’도 재생 페트병을 원자재로 활용한 상품으로 눈길을 끈다.
프리미엄 짐웨어 브랜드 ‘뮬라(MULA)’ 역시 베스트셀러인 ‘피지크 업 숏 슬리브 2.0’에 옥수수에서 뽑은 친환경 원사와 기능성 원사를 함께 적용하는 등 고퀄리티의 친환경 제품을 선보이는데 주력하고 있다.
뮬라는 이러한 활동을 더욱 의미 있게 알리고자 친환경 제품에는 별도 개발한 ‘에코택’을 적용하고 있다. 에코택에는 환경에 변화를 줄 수 있는 ‘RECYCLE(재활용)’ ‘NATURE(자연)’ ’REDUCE(재사용)’ 등 3가지의 메시지와 친환경 아이콘을 담았으며, 100% 펄프 재생지를 활용해 지속가능성 가치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
뮬라 조현수 대표는 “폐의류로 인한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이 연간 120억 톤에 달하고 있으며, 그만큼 애슬레저 업계에서도 지속가능성 가치에 대한 필요성이 계속해서 대두되고 있다”며 “애슬레저 업계를 리딩하는 기업 중 하나로서, 앞으로도 친환경 가치를 담은 원단과 제품을 꾸준히 선보이며 ‘친환경 애슬레저 룩’에 대한 소비자 공감대를 지속적으로 형성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 패션업계 최초 친환경 포장 시스템 도입하며 ESG 경영에 앞장서는 LF
LF는 지난해 7월 패션업계 최초로 친환경 포장 시스템인 ‘카톤랩(CartonWrap)’을 도입해 주목을 받았다.
카톤랩은 제품 포장 과정 전반을 자동화하고, 포장 폐기물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것이 특징인 친환경 패키징 솔루션이다. 제품을 투입구에 넣으면 각각의 제품 크기에 맞춰 박스가 제작된 후 포장, 운송장 부착까지의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되며, 이에 따라 박스와 박스를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OPP 테이프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특히 스티로폼, 에어백 등 포장 완충재를 일절 사용하지 않아도 돼 이로 인한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다.
LF는 카톤랩 도입으로 연간 약 25%(410톤)의 포장 박스와 약 90%(0.2톤)의 OPP 테이프 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추산했다. 여기에 부피가 작은 상품 포장을 위해 사용한 비닐(연간 약 66톤) 사용도 하지 않게 돼 환경 보호에 크게 기여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 재고 활용 업사이클링을 통해 새로운 패션 선보이는 코오롱인더스트리FnC ‘래코드’
올해로 10년차를 맞이한 코오롱인더스트리FnC의 업사이클링 패션 브랜드 ‘래코드’는 패션 브랜드의 고민 중 하나인 ‘재고’를 활용한 솔루션을 제안하는 업사이클링 패션 브랜드다. 래코드는 버려지는 의류 외에도 군에서 사용했던 텐트, 낙하산, 자동차 에어백과 카시트 등의 소재를 재활용한 제품을 선보인다. 단추, 지퍼, 태그 등 버려지는 부자재를 모아 새로운 제품을 만들기도 한다.
또한 새터민과 싱글맘, 난민, 장애인 등 사회적으로 취업이 어려운 사람들을 고용해 의류를 해체하고 재조립하는 작업을 맡겨 일자리를 제공하며 ESG 경영에 부합하는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최근에는 제주에 위치한 코오롱스포츠의 친환경 오프라인 공간 솟솟리버스에도 자리하며 접점을 늘려 고객과 친환경 실천 경험을 공유하며 호평을 받고 있다. 이 외에도 래코드가 지향하는 바에 공감한 다양한 브랜드와 함께 협업 컬렉션 및 전시, 파트너십 등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박우혁 기자(hyouk@kfashionnews.com)
<저작권자 ⓒ K패션뉴스(www.kfashion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