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회수92

3분기 소매유통업의 경기전망지수(RBSI)가 전분기 대비 15p 하락한 ‘84’로 집계돼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과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으로 살아나던 유통업 체감경기가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락폭은 2010년 이래 코로나 충격(20.2Q -22p)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소매유통업체 5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2년 3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가 ‘84’로 집계됐다고 18일 밝혔다. 대한상의는 “가파른 물가와 금리 상승, 자산가치 하락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소비여력이 축소된 데다가 하반기에도 현 상황이 이어지거나 악화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고조된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RBSI가 100 이상이면 ‘다음 분기의 소매유통업 경기를 지난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고 100 이하면 그 반대다.

업태별로는 편의점(96→103)만이 기준치를 상회했고, 백화점(111→97), 대형마트(97→86), 슈퍼마켓(99→51) 등 다른 오프라인 채널은 비대면채널에 유리한 엔데믹과 리오프닝이라는 훈풍에도 불구하고 지수 하락을 면치 못했다. 온라인쇼핑(96→88) 역시 엔데믹에 따른 대면소비 증가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두 분기 연속으로 기준치(100)를 하회했다.
백화점(97)은 전반적인 체감경기 하락에도 선방할 것으로 전망됐다.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높은 소비자층은 물가상승에 덜 민감해 물가상승 국면에서도 럭셔리 소비를 이어가는 경향이 있고, 리오프닝에 따른 소비심리 회복과 야외활동 증가로 패션 카테고리 매출의 호조세가 지수의 하락을 방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온라인쇼핑(88)은 두 분기 연속으로 기준치를 하회했다. 의류, 가전 등 당장 구매하지 않아도 되는 상품 비중이 큰 온라인쇼핑은 물가상승과 금리상승의 영향을 고스란히 받을 것으로 분석됐다. 그동안 온라인쇼핑은 비대면 소비트렌드에 힘입어 높은 성장세를 이어왔지만 엔데믹으로 일상회복이 현실화되면서 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환경변화에 따른 대응계획으로는 가격 할인 등 프로모션 강화(27.0%)를 가장 많이 꼽아, 낮아진 소비심리와 얇아진 소비자 지갑을 공략하는데 집중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어 온라인 강화(22.8%), 비용 절감(20.2%), 점포 리뉴얼(9.2%) 등을 차례로 꼽았다.
최근 경영 애로요인으로는 물가상승(34.2%), 소비위축(27.0%), 인건비, 금융, 물류비 등 비용상승(18.8%) 등을 차례로 들었다.
장근무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금리와 물가가 뛰고 대내외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어 당분간 소비심리 위축이 불가피하다”면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경기 변동에 따른 소비패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가격․상품 경쟁력 확보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우혁 기자(hyouk@kfashionnews.com)
<저작권자 ⓒ K패션뉴스(www.kfashion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