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그린·디지털’ 혁신 전략 제시 ‘PIS 2022’ 24일 개막…국내외 311개사 참가
2022.08.22 월요일
  • 조회수144

한국섬유산업연합회가 주최하는 ‘프리뷰 인 서울(PIS) 2022’가 8월 24일부터 26일까지 코엑스 A홀에서 개최된다. 사진은 지난해 전시회 모습.

한국섬유산업연합회(회장 이상운)가 주최하는 ‘프리뷰 인 서울(Preview in SEOUL, 이하 PIS) 2022’가 국내외 섬유패션업체 311개사(524부스)가 참가한 가운데 오는 8월 24일부터 26일까지 코엑스 A홀에서 개최된다.

올해 PIS는 이전과 다른 새로운 기준과 가치의 다음 세계를 여는 ‘넥스트 게이트(Next Gate)’를 주제로, 엔데믹 시대 섬유패션산업계의 지속가능한 그린·디지털 혁신 전략을 제시한다. 기후위기와 넥스트 팬데믹에 대응할 수 있는 친환경, 탄소중립 소재들과 디지털 융합 기술 등이 총망라하여 전시된다.

ESG 선도기업 친환경 솔루션 제시

글로벌 패션 브랜드들이 경쟁적으로 친환경 제품 개발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앞장서고 바이어에게 친환경 가치를 실천할 수 있는 소재, 공정, 기술 등을 제공하는 우수 업체들이 대거 참가한다.

효성티앤씨는 폴리, 나일론, 스판덱스 등 주요 화학섬유를 친환경으로 만들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추고, 내열성, 신축성 등의 기능을 강화한 스판덱스 ‘크레오라 파워핏’과 기능성 차별화 원사로 다각화한 친환경 재활용 섬유 ‘리젠’ 등으로 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한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화섬 및 방적사, 직물까지 생산 라인을 보유한 태광산업·대한화섬은 재활용 폴리에스터, 나일론 원사 ‘에이스포라에코’와 재활용 스판덱스 ‘엘라핏에코’, 접착제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산업용 저융점 섬유 ‘에이스본’ 등 친환경 섬유의 포트폴리오가 잘 짜여 있다.

나일론 직물 제직 및 후가공 제품 전문기업 원창머티리얼은 ‘제닌텍스’, ‘리그린플러스’ 등 친환경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으며, 다수의 국제 인증을 보유하는 등 ESG 경영 실천과 기술 혁신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리사이클, 생분해 등 친환경 소재와 자사 특수공정 기술이 적용된 기능성 소재를 주력으로 전시한다.

탄소중립과 지속가능 발전의 실천적 친환경 소재기업인 코레쉬텍은 생분해성 PLA 소재에 주력한다. 세계 최초로 비유전자변형(Non-GMO) 100% PLA 원사와 부직포 개발에 성공한 후 국내외 바이어들의 많은 제안을 받고 있는 가운데 다양한 혼방, 스타일 등을 구현한 제품들을 선보인다.

실크 원단 수출업체 다다무역은 실크의 독특한 퀄리티와 촉감, 컬러 등으로 친환경 자연섬유만의 멋과 고급스러운 스타일을 제안한다. 동준상사는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고 토양의 산화를 막는 동시에 직물에 고부가가치를 제공하는 대만의 ‘우모필(UMORFIL) 바이오닉 파이버’ 시리즈를 소개한다. 양식 생선의 비늘을 직물 원료로 바꾼 소재로 친환경적이며 동시에 피부 친화적인 혁신을 이뤘다.

천연소재로 지속가능성 가치 제시

지속가능한 패션시장 확대와 함께 천연섬유가 가지는 내추럴한 퍼포먼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에 상응하는 다양한 천연섬유들을 선보인다. 참가업체들은 자연 그대로의 질감을 살린 소재, 오가닉 및 BCI(지속가능한 면) 코튼, 물세탁이 가능한 울, 실크 등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관리의 편리성과 속건, 방풍 및 방수 등의 기능적 효율성이 강화된 소재를 준비했다.

100년 역사의 경방은 원사 자체에서 영구적인 기능이 발휘되는 흡한속건, 자외선차단, 항균 성능의 고품질 면사와 원단 후염으로 데님 느낌을 내는 원사, 울 브랜드 ‘울트라’ 등으로 친환경, 지속가능 트렌드에 대응하는 제품들을 선보인다.

방림은 60년의 경험과 노하우로 바탕으로 BCI 코튼, 헴프, 재활용 폴리에스터 등을 사용해 자연스러운 멋과 쾌적성을 갖춘 고감성, 고기능성의 새로운 첨단섬유를 제안한다.

대한방직은 통기성과 속건성을 지닌 면100% 원단부터 재활용 폴리에스터와 유기농 조합의 친환경 방수 기능성 제품 등을 선보이며, 방적부터 완제품까지 원스톱으로 어패럴, 침장, 유니폼 등의 토탈 서비스를 제공한다.

오가닉코리아는 일반 코튼과 오가닉 코튼, 죽사 원단 재고 등을 상시 보유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오더 수주 시 즉시 출고되어 상품화까지의 시간을 단축시켜주는 스피드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루빅통상은 인도, 중국 등 양질의 경쟁력 있는 원료, 원사를 국내 모방 공장과 원단 업체에 제공하고 있다. 기존 주력해온 양모 원료 및 원사에 이어 최근 영역을 확장해 지속 개발 중인 울, 헴프 위주의 천연소재 저지 원단들을 선보인다.

아즈텍WB는 패션마켓용 고급 모직물 강자로 수요가 커지는 캐주얼마켓용 방모 및 특수모 소재, 고기능성 유니폼, 산업용 소재 등을 선보이며, 지난 2017년 론칭한 여성 캐주얼 브랜드 ‘아마몰리’도 소개한다.

기능성 제품 라인업 한층 강화

이번 PIS에서 소개될 신소재들은 MZ세대가 스포츠 의류에 기대하는 새로운 스타일과 기능성을 두루 갖췄다. 효율적으로 땀을 흡수하고 빠르게 발산하는 흡한속건과 신축성을 기반으로 방풍, 발수 및 방수, 자외선차단 등의 기능성을 겸비해 실내외 스포츠웨어 시장을 효과적으로 공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아이지에스에프는 그래핀 복합사를 활용한 기능성 원단 ‘그래핀텍스’를 개발해 스포츠, 국방용품 브랜드에 공급하고 있다. 그래핀 원단은 정전기 방지 효과가 높고, 원적외선 방사 등 다양한 기능을 발현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아이템도 광범위하다.

예스텍스타일 컨설팅랩은 아웃도어, 골프, 워크웨어용 기능성 원단 전문기업으로 경량 스판덱스 분야에서 국내외의 독보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냉열, 온열 기능성 소재 공급도 선점하고 있으며, 최근 친환경 기조에 발맞춰 리사이클 나일론과 폴리에스터를 사용한 제품 개발을 확대했다.

앤디아이는 다양한 복합 교직 스트레치 직물 및 경량 신축 직물에 특화된 염색가공 기업이다. 코팅과 라미네이팅으로 기능성을 업그레이드한 스포츠 원단, 드레이프성을 가진 아세테이트 복합소재 제품 등 기술과 품질이 향상된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

경영텍스는 교직물, 마이크로 직물 전문 생산업체로 부드러운 촉감과 흡한속건, 정전기 방지, 자외선 차단의 효과를 내는 뱀부원단과 등산복, 스포츠웨어로 많이 사용하는 사방스판 원단을 위주로 선보인다.

와이제이글로벌은 수십년간 축적된 노하우로 모든 환편물 편직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저지 니트의 고정관념을 깨고 리사이클 폴리를 사용한 친환경적인 스포츠, 캐주얼, 골프용 아이템을 선보일 계획이다.

두림은 스포츠 기능성 원단을 전문 생산하는 업체로 최근 듀폰의 소로나 등 잠재권축사를 사용한 고신축 원단 개발과 냉감 소재들을 다양하게 전개하고 있다. 이번 전시를 통해 잠재권축사의 특성과 사가공을 통한 기능성 소재들을 제시한다. 이외에도 MZ세대가 열광하는 패션 트렌드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들을 소개할 예정이다.

‘디지털패션관’서 패션산업 미래 체험

그린·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는 올해 PIS의 비전은 개막 퍼포먼스로 진행하는 ‘Next Gate 패션쇼’와 3D 기술, 메타버스와 융합된 섬유패션산업의 미래를 체험할 수 있는 ‘디지털패션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Next Gate 패션쇼’는 지속가능 패션을 추구하는 ‘디앤티도트’의 박환성 디자이너, ‘두칸’의 최충훈 디자이너와 친환경 인증 소재기업 전방, 신진텍스, 케이준컴퍼니, 베코인터내쇼날, 알앤디텍스타일, 에스엔티, 에스에프티 등 15개사가 협업한 하이브리드 패션쇼이다. 디지털 3D패션쇼와 실물 패션쇼가 어우러져 지속가능성에 대한 가치와 방향성을 선보인다.

‘디지털패션관’은 클로버추얼패션, 어도비코리아를 중심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픽셀풀 등 14개사가 참가해 메타버스로 확장하는 섬유패션산업의 미래를 보여준다. 클로버추얼패션과 어도비는 3D 의상 시뮬레이션 기술 등 제조 공정 및 디자인 과정에서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디지털 혁신 기술을 시연하고, 국내 브랜드들의 도입 사례들을 소개한다. 헤지스, 올리비아 로렌, F&F 등은 3D 버추얼 시스템 도입을 통해 디자인·샘플링·수정부터 실감나는 아바타 모델을 활용한 가상 품평회 등 제품 완성까지의 전 과정을 3D 이미지 처리 기술을 통해 구현한다. 스와치온과 유스하이텍은 디지털 원단으로 CAM을 활용해 디자인, 패턴, 3D 과정을 거쳐 샘플을 생산하는 일련의 생산시스템 과정을 시연한다.

메타버스 기반으로 디자인, 생산, 마케팅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지털 환경에서 구현되는 메타패션 비즈니스 모습도 보여준다. e-커머스, 디지털 3D 쇼룸을 비롯해 소비자들의 미래 쇼핑 경험에 빠질 수 없는 가상(VR)·증강(AR)·확장(XR) 현실 기술을 체험해 볼 수 있다.

사전등록 참관객 늘어 기대감 업

엔데믹 시대에 처음 개최되는 이번 PIS는 해외 참가업체(해외관 70개사 94부스) 및 해외 바이어의 귀환, 사전등록 바이어가 2배 이상 증가하는 등 전시 성과뿐만 아니라 섬유패션시장 회복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삼성물산, LF, 이랜드월드, 코오롱FNC, 신성통상, 신원, 인디에프 등 국내 대형 패션기업들과 세아상역, 한세실업, 한솔섬유 등 글로벌 벤더, 영원아웃도어, K2코리아, 블랙야크, 안다르, 데상트코리아 등 스포츠·아웃도어 브랜드들은 글로벌 트렌드 소재들을 만나기 위해 사전 등록을 완료했다.

또한,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SK케미칼, LX하우시스, GS리테일, 현대트랜시스 등 타산업 분야에서도 섬유패션산업과의 융합 기술 및 상품 개발을 위해 전시장을 방문할 예정이다.

해외에서는 글로벌 브랜드와 종합상사 등 유력 바이어들이 방문한다. 주최측은 미주·유럽 브랜드(Michael Kors, Missoni, Moorer, Helly Hansen, Levy Group 등)를 중심으로 홍콩 Mast Global, 일본 ITOCHU 상사, 인도 Wildcraft 등 한국 소재에 관심이 많은 빅바이어 120여명을 초청하여 참가업체의 성과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한편, 지속가능패션을 위한 솔루션, 메타버스 패션사례 등 글로벌 전문가 초청 특별 세미나를 비롯해 친환경 소재, 인증 트렌드, 최신 디지털 기술 정보 등을 소개하는 다양한 세미나 프로그램(8월24~25일, 총 12회)과 섬유패션업계 인력난 해소와 취업준비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취업박람회(8월 25일) 등의 부대행사도 개최된다.

섬산련 관계자는 “이번 PIS는 디지털과 그린이 공존하는 새로운 기준과 가치를 반영했다”며 “이를 계기로 앞으로 미래 방향성을 정립하고, 우리 섬유패션산업이 경쟁력을 갖추는데 속도를 낼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우혁 기자(hyouk@kfashionnews.com)

<저작권자 ⓒ K패션뉴스(www.kfashion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보기

by 패션넷
  • 맨위로
목록

FASHIONNET 사이트맵

닫기

사이트맵

e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