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6월 FaDI Top 20 콘텐츠!
2020.07.03 금요일
  • 조회수428

6월 top 20에서는 20SS 시즌의 리얼타임 콘텐츠들이 큰 비중을 차지한 가운데, 6월에 공개된 21SS 트렌드 예측 콘텐츠들의 차트 진입이 눈길을 끕니다. 

대표적인 스테디 콘텐츠 2020 summer Pre-Trend의 color analysis는 4위에서 2위로 순위가 다시 상승하였고, 20FW 시즌 준비를 위한 2020 winter Pre-Trend의 Colors of the season이 5개월 연속 top 20에 랭크되고 있어, 2020 summer Pre-Trend의 컬러 분석을 잇는 스테디 콘텐츠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새로운 콘텐츠인 2021 summer Pre-Trend의 season colors가 공개된 지 2주만에 7위에 랭크되었고, 2021 summer ICReport의 Final Colors도 8위에 이름을 올려, 2021 summer의 컬러를 준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스타일 콘텐츠 중에서는 5월에 top 20에 이름을 올렸던 20FW 여성복 런웨이 분석 20FW Runway Analysis Womens 중 뉴레이디와 편안한 미니멀리즘 테마가 계속해서 순위권에 머물렀고, 20SS 리얼타임 트렌드인 퀵트렌드바이트 콘텐츠들이 인기있었습니다.   

시즈앤니즈 콘텐츠 중에서는 2020 패션 소비 트렌드-국내편이 3개월 연속 1위를 지키고 있고, 퀵트렌드바이트 중에는 코로나 이후의 소비 트렌드를 다루고 있는 POST-COVID19 패션소비변화와 #fashion&beauty #post-covid #virtual_try-on#POST-COVID19 #next_normal #private #untact가 순위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보아, 코로나 이후의 소비 트렌드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스테디 콘텐츠 중 하나인 밀레니얼 세대에 주목한다는 순위가 많이 하락하긴 했으나 여전히 top 20에 랭크되었고, 지난 달에 순위권이었던 오래 전 콘텐츠 인상주의(Impressionism)와 미디어의 변화: 1인 미디어의 성장이 각각 4위와 5위로 순위가 많이 상승하면서 더욱 선전하고 있는 것이 흥미롭습니다.  

[QTB] 2020 패션 소비 트렌드 -국내편
2019년 소매 유통 경기가 전년 대비 좋지 않았다는 설문 조사결과와 더불어 2020년 소매 시장에 대한 기대감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 전문지 리테일매거진에 의하면, 업계 종사자들이 ‘오프라인 유통업계 성장세 감소 및 정체’, ‘지속적인 위축된 소비심리’, ‘정부의 규제 압박’ 등을 원인으로 2020년 소매 시장의 성장률을 2~3%대로 예측했다. 특히 심각한 패션 시장의 위기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제시된 ‘2020 패션 시장 트렌드’를, 국내 유통사들이 자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시한 유통 및 소비 트렌드의 큰 틀에 대입하여 2020 패션 소비 트렌드의 대표적인 흐름을 짚어보았다.
 2[2020 summer Pre-Trend] color analysis
Comfort :: 편안
Flexibility :: 유연성
Inventities :: 발명
 3[QTB] POST-COVID19 패션소비변화

코로나19 발생 이후 소비위축은 지속되고 있으며, 패션유통가에서도 새로운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으나 쉽게 회복되기는 힘든 조짐이다. 실제로 국내 코로나 사태가 본격화되기 전 12월 첫째 주 토요일 소비자의 주요 대형마트 및 쇼핑몰의 매장 방문자 비중 대비 2월 둘째 주 토요일 방문 빅데이터를 비교한 결과(KDX 한국데이터 거래소), 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코스트코가 67%~53% 수준에 머물렀으며, 스타필드는 45%로 쇼핑몰은 더욱 악화된 수치를 보였다.
 4인상주의(Impressionism)
19세기 미술계의 비주류, 일종의 변종 화가 집단이었지만 100년이 흐른 뒤에도 대중의 관심을 뜨겁게 받고 있는 인상주의. 이토록 사람들을 열광하게 만드는 인상주의의 매력이 무엇인지, 인상주의 화가들의 그림에 대한 가치관과 신념은 무엇인지 Trend Backstage에서 공유하고자 한다.
 5미디어의 변화 : 1인 미디어의 성장

올해 방송가에서 가장 주목하는 키워드는 숫자 0과 1이다. 0은 제로 TV 가구(TV가 없는 가구)를 뜻하고, 1은 1인 미디어를 뜻한다. 집에서 TV가 사라지고 있으며, TV 대신 스마트 폰 등의 디지털 기기의 사용이 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또한 1인 가구의 증가도 큰 몫을 하면서 1인 미디어 붐이 일고 있다.
 6[QTB] #플레어스커트 #풀스커트 #스커트
코로나 팬데믹 이후 실용성, 편안함, 활용도에 우선순위를 두는 아이템에 주력해야한다는 것을 계속해서 강조하고 있으며, 스커트에서도 미디 기장을 중심으로 활용도가 높은 플레어 스커트가 주요 아이템으로 떠올랐다. 플레어 스커트는 실용적이고 편안함을 가지면서도 허리를 강조한 #A라인 #핏앤플레어 스타일로 여성스러움을 드러내며, 더욱 매력적인 아이템으로 주목 받고 있다.
 7[2021 summer Pre-Trend] season colors
Tan / Cinnamon Stick / Sun Orange / Hot Coral / Lilac Sachet / Blue Flower /Blanc de Blanc / Florida Keys / Treetop / Maize / Fuchsia Red
 8[2021 summer ICReport] Final Colors
옵티멈 베이직 :: 공감 기술 :: 초자연
안티 컨슈머 :: 슈퍼 컨슈머 :: 센시빌리제이션
 9[20FW Runway Analysis Womens] 01 편안한 미니멀리즘
재택근무, 홈오피스룩 등 사회적인 이슈에 따라 편안한 패션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심플하면서도 여유있는 핏의 편안한 미니멀룩이 트렌드로 지속되고 있다. 디자인은 미니멀하지만 소재는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중심으로 활용되고, 랩구조, 드레이프, 셔링, 비대칭, 컷아웃, 벨트와 같은 액세서리들이 더해져 미니멀룩을 완성한다.
 10[20FW Runway Analysis Womens] 02 뉴레이디
지난 몇시즌 동안 여성복에서 빅숄더의 파워풀한 젠더리스룩이 강세를 보였고, 이번 시즌에는 페미닌한 레이디룩이 중요한 룩으로 다시금 주목 받고 있다. 클래식한 레이디라이크룩은 새로운 소재와 톡톡 튀는 액센트 컬러들을 스타일에 매치해 새롭게 재탄생되었으며, 과거 시대의 의상, 레트로 감각들을 더해 모던한 레이디라이크룩을 완성한다.
 11[2020 winter Pre-Trend] Colors of the season
orange / red / blue / yellow / purple / green / basics
 12[QTB] #fashion&beauty #post-covid #virtual_try-on
코로나의 역풍을 맞은 2020년 상반기 패션시장에서 눈여겨볼 이슈 중의 하나는 역시 패션과 뷰티의 협업이다.패션, 뷰티 분야의 매출이 전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홈라이프의 주목 등으로 향수 관련 시장은 성장세를 보였다. 일부 매체의 집계에 따르면 G마켓 향수 판매가 1~4월 전년대비 29% 성장하였으며, 디퓨저, 티라이트 등의 제품 역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니치향수로 대표되는 신세계 인터내셔널의 딥티크, 바이레도, 산타마리아노벨라의 1~4월 매출 역시 40% 이상 증가하였다.
 13[2021 summer Pre-Trend] vision 1 isolation
:Covid-19이 촉매제가 되어 타인과의 거리 두기와 혼자만의 공간을 만들어가는 것이 일상이 된다. 로컬 마켓과 하이퍼 로컬라이즈된 이커머스가 성장하고 모노 프로덕트, 심플한 레이아웃의 매장은 번아웃된 소비자들에게 선택의 고민을 덜어준다. 자연의 명쾌한 복수로 인해 직접적인 두려움을 겪은 소비자들은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소비를 하며 브랜드는 지속가능성과 아카이브를 활용해서 재고를 줄이고 소비자와 진정성있게 소통한다.
 14[QTB] #세트 #세트아이템 #세트의상 #set

편안하고 실용적이면서, 실내용, 외출용, 화상회의용으로도 손색이 없는 스타일리시한 파자마 웨어가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이러한 파자마 웨어에서 영감을 받은 편안한 #라운지웨어 #투마일웨어 들이 다양하게 등장했다. 특히 손쉽게 매칭하여 코디테이션 할수 있는 편안한 #세트 아이템들이 새로운 인기 아이템으로 떠올랐다.
 15[QTB] #POST-COVID19 #next_normal #private #untact
코로나 팬데믹 충격으로 소비들은 즉각적이고 급진적으로 소비 패턴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구매채널은 대면에서 디지털로 빠르게 옮겨갔으며, 기업도 소비자도 공공의 안전이 최우선시 되고 있다. 코로나 이후 닥친 ‘next normal’ 의 국면을 대처하기 위해 기업들은 소비자의 경험을 재정의할 필요가 있다.
 16[QTB] #반다나 #반다나패턴 #패치워크

빈티지한 반다나 패턴이 패치워크 된 아이템들이 꾸준히 등장하면서 #지속가능성 및 #업사이클링 트렌드에 더욱 힘을 실어주고 있다. 반다나 패턴은 리조트 셔츠, 세트 아이템, 드레스, 스니커즈, 재킷 등 다양한 아이템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자투리 패브릭을 활용한 듯한 독창적이고 유니크한 패치워크 스타일은 #지속가능한패션 #재활용패션 의 앞선 감각도 함께 선사한다.
 17밀레니얼 세대에 주목한다
현재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소비, 고용 시장에 큰 영향력을 미칠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을 파악하고, 사회의 변화 흐름을 읽어본다.
 18[QTB] #핫컬러 #핑크 #소프트매스큘린 #젠더이퀴더티
#소프트매스큘린 #젠더이퀴더티를 표현하며 #스테이홈스타일을 보다 #인스타그래머블하게 보이게 만드는 컬러로 #핑크가 핫하게 떠오른다.
 19[QTB]#SportySandals#throwondresses#lockdownwalks#velcrostrap#rubbersoled
여름의 첫 달, 옷장은 점차 편안한 드레스, 반바지 등 가벼운 품목들이 앞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2020년 상반기를 넘어설 것으로 보이는 길어지는 자가격리와 사회적 거리두기는 사람들에게 집에서와 같은 편안함을 제공하는 제품에 대한 선호를 높이고 있다. 가벼운 산책이나 잠깐의 외출을 위한 스포티한 #여름샌들도 하나의 트렌드 아이템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2021 summer preTrend] big idea
:: AFTER PANDEMIC ::

>> 분석방법
2020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사용자 이용 내역을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로 분석하여, ‘콘텐츠 뷰(view) 수‘를 기준으로 하고 ‘게시 후 경과일 수’를 가중치로 적용하여 점수화한 뒤, 상위 20위까지를 선정하였다. 트렌드 콘텐츠의 특성 상 게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콘텐츠의 가치가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게시일로부터의 경과일을 가중치 기준으로 함으로써, 게시 후 오랜 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관심도가 높은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FaDI에서 게시하는 각 콘텐츠는 시즌과 정보분류, 타겟 등 속성(feature)값을 부여하여 관리하고 있는데, 사용자 이용내역 분석을 통해 보다 정확하고 활용도 높은 맞춤형 콘텐츠를 제작, 제공할 예정이다. 

by 패션넷
  • 맨위로
목록

FASHIONNET 사이트맵

닫기

사이트맵

error: